반응형 서재필1 서재필과 벤저민 프랭클린, 두 시대의 개화인 “잉크가 마르기도 전에 혁명이 시작되었다.”1896년 4월 7일, 조선 최초의 한글신문 《독립신문》이 인쇄소에서 막 찍혀 나오던 날이었다.인쇄기를 돌린 이는 바로 서재필. 조선에서 개화운동으로 사형선고를 받고 탈출한 뒤, 미국에서 의사가 되어 돌아온 인물이다.그가 이 신문에 처음으로 적은 말은 이랬다. “백성이 알아야 나라가 산다.”그로부터 150년 전, 대서양 건너의 또 다른 식민지에서는 벤저민 프랭클린이라는 인물이 비슷한 일을 벌이고 있었다. 그 역시 인쇄공이자 출판인이었고, 《가난한 리처드의 연감》이라는 책으로 평범한 사람들에게 지식과 근면의 가치를 알리던 사상가였다. 1. 조선에서 필라델피아까지서재필은 조선의 양반 집안 출신이었다. 하지만 그가 택한 길은 유학이 아니라 혁명이었다.1884년 갑신.. 2025. 7. 1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