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행정2

정약용과 괴테, 펜과 정책으로 세상을 고친 사람들 한 명은 유배지에서 500권이 넘는 책을 썼고, 한 명은 극장을 운영하며 시와 광학을 동시에 연구했다. 한 명은 백성을 위한 행정을 설계했고, 다른 한 명은 인간의 감정을 철학으로 녹여냈다. 조선의 정약용, 독일의 괴테. 이 두 사람은 시인도, 과학자도, 정치가도, 개혁가도 되기를 주저하지 않았다. 말하자면, 문명 너머를 설계한 천재들이었다. 1. 유배지에서 나라를 그린 사람, 정약용조선 후기. 천주교 탄압으로 정조가 세운 개혁의 불꽃은 꺼져가고 있었다.그 시기, 남쪽 강진으로 귀양 간 한 사내는 조용히 붓을 들었다.그가 바로 다산 정약용.그는 외롭지 않았다. 밤이면 마을 소년들에게 글을 가르쳤고, 낮에는 논두렁을 돌며 농법을 살폈다. 그리고 밤마다 글을 썼다. 『목민심서』, 『경세유표』, 『흠흠신서』….. 2025. 8. 15.
정약용의 『목민심서』, 지금도 공무원 필독서일까? 최근에 검찰, 대통령에 대한 공직자 윤리에 대해서 언급이 많습니다. 진정 국민을 위한 정치인가? 당을 위한 정치인가?단지, 각자의 판단이 아니라, 보는 시야에 따라 달라질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도 보편적인 윤리에 대해 언급하신 조선시대의 어르신이 계셨습니다. 조선 후기, 지방 행정을 맡은 관리들에게 꼭 필요한 책이 있었습니다.바로 정약용의 『목민심서』입니다. 이 책은 백성을 ‘다스리는’ 게 아니라, ‘섬기는’ 자세로 임하라고 일갈합니다. 배경: 정약용이 유배지에서 관료 생활을 돌아보며, 지방 행정의 부패와 무능을 반성하고, 이상적인 지방 관리의 자세와 실천 방법을 정리한 실학서-핵심 내용 1) 청렴과 절약: 부정부패를 경계하고, 사욕을 버릴 것 2) 백성 사랑: 관리의 존재 이유는 오직 백성 .. 2025. 5.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