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몽주와 토머스 모어 – 신념을 지킨 두 지성
"이 봄이 죽고 죽어 일백 번 고쳐 죽어도..."“나는 국왕에게 충성했지만, 먼저는 신과 양심에 충성했습니다.”어느 날, 고려의 선죽교 위에서 한 남자가 칼에 쓰러졌습니다.500년 뒤, 런던의 단두대 위에서도 또 한 남자가 조용히 죽음을 맞이했습니다. 정몽주, 그리고 토머스 모어. 시대를 초월해 마주 선 두 사람은 마치 이렇게 말하는 듯합니다. “지킬 게 있다면, 목숨쯤은 별 거 아니다.” 1. 충절의 아이콘, 고려의 정몽주정몽주는 고려 말 최고의 성리학자였습니다. 외교, 시문, 정치 어느 하나 빠지지 않는 ‘완성형 엘리트’였죠.그러던 어느 날, 급변하는 고려 말.이성계와 이방원이 새 왕조를 꿈꾸며 정몽주를 회유합니다.이방원의 시: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정몽주의 답: “이 몸이 죽고..
2025. 7. 13.
레오나르도 다 빈치와 장영실, 시대를 앞선 손을 가진 남자들
15세기 유럽.한 젊은이는 새의 날갯짓을 관찰하며, 사람이 날 수 있을지를 고민하고 있었다.해부도, 수차(水車), 비행기계까지.그는 예술가이자 과학자였고, 발명가이자 철학자였다.그가 바로 레오나르도 다 빈치다. 같은 시대, 조선의 한 농민 출신 남자는물시계, 자격루, 측우기, 해시계 같은 하늘과 땅을 읽는 기계를 만들고 있었다.신분을 뛰어넘어 조선 과학기술의 꽃을 피운 장영실. 그 역시 사람을 위해 과학을 만든 손이었다.‘기계를 인간의 문제를 해결하는 도구로 본 시선’은 놀랍도록 닮아 있다. 1. 장영실: 하늘을 측정하고 백성을 돕다장영실은 출신부터가 전설적이다.노비 출신이었지만, 천부적인 기계 감각을 인정받아 세종에게 발탁되었다. “과학은 백성을 위한 것이라야 한다.” 그가 만든 자격루는 물이 일정하..
2025. 7. 12.
이중환과 마크 저커버그, 데이터를 좇은 남자들
"살만한 땅이 어디인가요/" “요즘 살기 좋은 곳이 어딘가요?”이 질문은 18세기 조선에도, 21세기 미국 실리콘밸리에도 똑같이 울려 퍼졌습니다.어떤 이는 말과 소를 몰고 전국을 누비며 답읗 찾았고,어떤 이는 키보드 위에서 클릭 몇 번으로 전 세계인의 삶을 바꿔놓았죠. 바로 이중환과 마크 저커버그의 이야기입니다. 1. 땅 위를 걸으며 데이터를 모은 남자, 이중환조선 영조 시기, 이중환은 관직에서 물러난 뒤 홀연히 전국을 돌아다닙니다.그는 귀족도, 상민도 아닌 중인 계급 출신으로, 조선의 현실을 누구보다도 뼈저리게 알고 있었죠.그는 묻습니다. “사람답게 살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그는 단순한 지도를 그린 것이 아닙니다.땅의 생김새, 물길의 흐름, 사람들의 인심, 물가, 학문의 수준, 병이 얼마나 퍼..
2025.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