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70 허균.. 언론의 자유를 외치다..!! 현재 SNS는...? 대한민국에서 어렸을 때 홍길동전을 안 읽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읽으면서 부조리, 사회적 위선, 차별 등에에 대해 화가 나고 억울하고 갑자기 몸과 마음에서 정의가 솟아났다.^^ 이것은 순수한 마음에서 나오는 글에 대한 감동과 교훈이라고 생각한다. "홍길동전은 동화가 아니다. 혁명 선언이다."조선 후기, 글 하나로 체제를 흔든 남자가 있었다. 허균.그는 양반 중심 사회에서, 서자도 인간답게 살아야 한다고 외쳤고,그 외침은 끝내 그를 죽음으로 이끌었다.하지만 오늘날 우리는 그를 "표현의 자유"를 실천한 선구자로 기억한다. 자, 그렇다면 지금의 한국 사회는 허균이 꿈꾸던 ‘표현의 자유’의 시대일까? 1. 허균이 말한 자유는, 지금의 우리와 닮았다허균은 자신의 시대에서 “말할 수 있는 권리”를 끝까지 지켜냈다.. 2025. 5. 6. 장영실이 일론머스크에게 묻는다.. 일론!! 이런것 할수 있겠어..? 장영실은 세종대왕 시대 과학의 부흥을 일으켰던 위대한 인물이다. 진정한 엔지니어이다. 일론머스크는 세계의 과학 부흥을 일으키고 있는 살아있는 인물이다. 이들의 공통점은 시대를 뛰어넘는 기술의 천재한 명은 조선의 하늘을 재는 천재였고, 다른 한 명은 우주로 로켓을 쏘는 억만장자다. 둘은 ‘불가능’을 ‘기술’로 뒤집어버린 과학자이다. 시대도, 환경도, 사용하는 기술도 다르지만, 이 둘의 공통점은 분명히 있다. “불가능을 묻지 않는다” 1. 하늘을 재던 사나이, 장영실조선의 과학자 장영실은 신분이 낮아도 머리는 하늘을 찔렀다.세종대왕은 그를 그냥 쓰지 않았다. “나라의 하늘을 재고 시간을 정할 사람”으로 임명했다.그는 물시계 ‘자격루’, 해시계 ‘앙부일구’, 그리고 자동으로 움.. 2025. 5. 6. 간디와 한국의 분리수거를 보셨다면...? 절제와 책임의 철학 간디 제시한 '7대 사회악'이 있습니다. 1. 원칙 없는 정치 2. 노동 없는 부 3. 양심 없는 쾌락 4. 인격 없는 교육 5. 도덕성 없는 상거래 6. 인간성 없는 과학 7. 희생 없는 신앙 7대 사회악중 '2. 노동 없는 부'에 대해 얘기해 보겠습니다. 간디는 “부(富)는 정당한 노동을 통해 얻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즉, 소유는 ‘생산적 노동’과 연결되어야 하며,타인의 고통이나 착취 없이 정직하게 얻어진 것이어야만 정당하다고 여겼습니다.그는 자급자족과 절제를 통해 소유를 욕망이 아닌 책임으로 보았습니다.(요즘 같은 기계화, 자동화, 물질 풍요시대에는 잘 어울리지 않습니다..^^;) “간디가 오늘날 한국에 살았다면 분리수거를 했을까?”아마 대답은 “그는 분리수거.. 2025. 5. 5. 세종대왕님께서 샘올트만에게 질문한다.. 지식을 잘 퍼뜨릴수 있을까? 저는 어렸을 때부터 "세상에서 가장 존경하는 위인은?" 질문을 받는다면한순간의 망설임도 없이"세종대왕입니다!!" 하고 대답하였다. 특히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한글'이라는 위대한 창조물을 통해글을 모르는 사람에게 지식을 공유하는 방법을 찾았다는 데에 경외심을 갖게 합니다. 세종대왕의 의도는 좋았으나 당시는 한글 배포에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한류붐을 타고 이제야 한글에 대해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정말 감동적입니다..^^ 세종대왕님과 감히 비교(?)를 해도 될지 모르겠습니다만 최근 지식전파에 선두주자인 OPEN AI를 만든 샘 올트만과 비교해보고자 합니다. 1. 세종대왕 vs 샘 올트만 – 기술은 누구를 위한 것인가?15세기 조선의 임금 세종대왕과21세기 인공지능 시대의 주역 샘 올트만.둘은.. 2025. 5. 5. 석가모니께서 헬스 트레이너를 만나다..몸과 마음 어떻게 다스려야할지.. 오늘도 헬스장. 운동복 입고, 인바디 찍고, 단백질 셰이크 하나 마시고…"나는 오늘도 나를 단련한다!" 우리는 요즘 ‘헬스’라는 이름 아래 스스로를 채찍질합니다.더 좋은 몸매더 낮은 체지방더 강한 힘더 예쁜 거울 셀카1. 석가모니, 피트니스 센터에 나타나서 말씀하신다.. ^^ 석가모니(부처님)께서 이 장면을 본다면?한참 덤벨을 들고 있는 우리를 보며, 이렇게 말했을지도 모릅니다. “그 무게, 너의 욕망보다 가볍구나.” 근손실은 곧 정신손실, 헬스는 현대의 종교, 단백질은 새로운 공양.여기서 우리는 석가모니의 한 장면을 떠올릴 수 있습니다.그가 깨달음을 얻기 전, 6년간 극한의 고행을 했던 시기죠.온갖 고통과 굶주림 속에서 “이게 해탈인가?” 묻던 그 순간.결국 그는 이렇게 결론 내립니다. “몸을 괴롭힌다.. 2025. 5. 5. 맹자의 엄마가 대치동에 사셨으면 어떻게 아이를 가르치셨을까...? 맹자의 엄마와 대치동 엄마, 시대를 초월한 교육열?“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이 말을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겁니다.맹자의 엄마는 아들의 교육을 위해 세 번 이사했죠. 그런데 지금 21세기에도 그 정신을 고스란히 이어가는 어머니들이 있습니다.바로, 강남 대치동의 엄마들! 겉으론 비슷해 보이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좀 다릅니다.오늘은 이 두 ‘시대의 교육맘’들을 비교 얘기 해보겠습니다.(개인적인 의견이니 보시고 웃으세요.) 1. 맹모삼천 vs 대치삼천?맹자의 엄마는 처음에 시장 근처에 살았습니다.아들이 상인 흉내를 내자 이사했습니다.두 번째는 묘지 근처.장례 행렬 따라 울음 연습하는 아들을 보고 또 이사.마지막은 학교 근처.아들이 공부하는 걸 흉내 내자 “여기가 딱이다!” 하며 정착했죠.이쯤 되면 맹모삼.. 2025. 5. 4. 이전 1 ··· 7 8 9 10 11 12 다음 반응형